목록웹 (14)
굥뷰를 햡시댜
REST, REST API에 대해 명쾌하게 정리해놓은 글이 없어 제가 한 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나만 이해함 주의) REST API에 대해 알고 싶다면 먼저 REST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합니다. 1. REST란? -> 정보들이 주고 받아지는 형식에 있어서 개발자들 사이에 널리 쓰이는 일종의 형식입니다. -> REST란 어떤 요청이 어떤 동작이나 정보를 위한 것인지 그 요청의 모습 자체로 추론 가능해야 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만 적어놓는다면 도대체 무슨 말을 하는 것인지 이해가 잘 안가기 때문에 제 티스토리 블로그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제 티스토리 블로그의 메인 주소는 godz.tistory.com 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godz.tistory.com/66 이런 식으로 식별자를 달아 표..
도커와 쿠버네티스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보고자 한다. 1. 도커(Docker)란? ->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플랫폼 2. 도커의 등장 배경 개발자들의 개발 환경은 다 제각각이다. 그래서 협업을 할 때, 개발 환경을 맞춰야 한다거나 이미 개발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환경 버전이 서로 다르다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거나 협업하는데 큰 문제가 생길수도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도커(Docker) 이다. 3. 도커의 특징 -> 클라이언트의 PC와 서버에 도커를 설치하고 도커 파일을 만들면 컨테이너를 만들 수 있다. -> 여기서 만들어진 컨테이너는 같거나 각각 다른 개발 환경을 가지고 있다. -> 중요한 점은 이 컨테이너들은 서로 독립적이다. -> 또, 기존에 개발했던 서비스를 다시 만..
Devops, MSA, Agile... IT 분야에 관심이 많다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단어들 입니다. 이런 용어들을 명확하게 한 줄로 정의해놓은 곳이 없어 제가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Waterfall 방식과 Agile 방식 - 워터폴(Waterfall) 방식이란? 워터폴 방식은 요구분석 -> 설계 -> 디자인 -> 코딩 -> 개발 순으로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개발 방식입니다. 이런 개발 방식은 단계별로 정형화된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로 기술적인 위험 요소가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개발 방식은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면에서 즉각적으로 피드백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처음 고객이 의도했던 바와 다른 제품이 개발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방금 언급한것 처..
IoC(Inversion of control)이란 제어의 역전을 말한다. 한글로 풀어놔도 이해하기 난해한? 단어의 조합이다. 쉽게 생각하면 IoC는 '대신 해준다'라는 의미로 생각하면 된다. 1. Bean -> 스프링이 제어권을 가지고 직접 생성하고 관계를 부여하는 수동적인 제어의 역전이 적용된 객체 -> 한마디로 스프링이 IoC(대신해줌)를 할 때 사용하는 객체이다. 2. Bean Factory -> Bean의 생성, 등록, 조회 및 관계설정 제어를 담당하는 IoC 객체 -> 보통은 Bean Factory를 사용하지 않고 이를 확장한 Application Context를 이용한다. 3. Application Context -> Bean Factory 확장 IoC 객체(Bean Factory에 상속) -..
웹서버는 요청과 응답의 연속이다. 사용자가 인터넷 주소창에 무언가 입력한다고 생각해보자. 이럴 경우, 사용자가 인터넷 서버에 페이지를 요청하는 것이라고 한다. 이 요청을 서버가 잘 받아들였다면 새로운 페이지가 뜰 것이고 이 화면이 잘 나타난다면 서버가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한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인터넷 브라우저에 www.google.co.kr을 입력했을 때, 이 행위는 사용자가 구글 서버에 페이지를 요청한 것이다. 그리고 이런 요청을 서버가 잘 처리했다면 구글 페이지가 뜰 것이고 이것은 서버가 응답을 한 것이다. 이처럼, 웹은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항상 처리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있다. 이런 방식의 대표적인 패턴으로는 MVC 패턴이 있다. 오늘은 MVC 패턴에 대해 공부해보고자 한다...